231016 임시작성/240210 수정

 

HDR 적용 불가

 

- 카본 6세대 WQHD HDR 돌비비전 500 니트 모델임에도 윈도우 상에서 전역적인 HDR 지원이 안 됨.

 

 

X1 Carbon 6th 패널 사양

- 출처 https://psref.lenovo.com/syspool/Sys/PDF/ThinkPad/ThinkPad_X1_Carbon_6th_Gen/ThinkPad_X1_Carbon_6th_Gen_Spec.PDF

 

 

 

https://www.panelook.com/B140QAN02.0_AUO_14.0_LCM_overview_37246.html

 

AUO B140QAN02.0 Overview

AUO B140QAN02.0 datasheet 1 files, 1000 stocks, 3 suppliers, price, photos, compatible model. LTPS TFT-LCD, 14.0', 2560×1440, 500 nit, 1500:1 (Typ.), 16.7M color, 60Hz, QLED, eDP (4 Lanes)

www.panelook.com

 

 

Display - AUO사 B140QAN02.0, WQHD 500 nit HDR 

?? 8비트라고 적혀있..

panelook에서도 그 어디에도 HDR 문구, 10비트 관련 문구가 보이지 않는다. 

 

 

윈도우에서는 과연..?

 

 

- 윈도 10 포맷 후 레노버 밴티지로 각종 드라이버를 설치하였으나

HDR 돌비비전을 지원한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8비트, 색 공간도 SDR로 잡히고

HDR 활성화 토글키도 없어서 설정 ON/OFF 자체를 할 수가 없다.

 

엣지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유튜브에서도 HDR이 표시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고 하는 데

엣지에서도 무슨 일인지 HDR 문구도 찾을 수 없었고 HDR 재생도 불가했다.

포맷하고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구버전 드라이버도 설치해 보았으나 역시나 안됨.

 

윈도우11로 업데이트하면? 여전함.

 

단, 팟플레이어를 켜서 HDR 영상을 재생하면 HDR 문구가 표시되긴 함.

 

 

확인 과정

- 레노버 포럼에서 X1C 패널에 대한 수많은 토론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https://forums.lenovo.com/t5/ThinkPad-X-Series-Tablet-and/X1-6-gen-HDR-Is-the-panel-8-bit-reported-by-EDID-or-12-bit/td-p/4056361?page=2

 

English Community-Lenovo Community

 

forums.lenovo.com

 

Update: I've got the answer from Lenovo support, pasted below, verbatim:

1. Dolby Vision requires at least 10 bits panel for it to work.
2. Some Lenovo X1 Carbon 6 Gen originally comes together with 14" HDR WQHD IPS with Dolby Vision™ (2560 x 1440), Glare, 500 nits that support Dolby Vision, however the panel that comes together with the machine is only 8 bit.
3. X1 Carbon 6 Gen that supports Dolby Vision will come with a future software updates which added support for Dolby Vision.

 

해외 포럼의 한 유저가 고객센터로부터 받은 답변을 보면

돌비 비전을 사용하기 위한 스펙은 최소 10비트 패널이 필요하지만 X1 카본 6세대의 패널은 8 비트라는 것.

- panelook에서 확인했었던 스펙과 일치함.

 

다만 나중에 돌비비전을 지원할 수 있게끔 소프트웨어를 지원하겠다는 것인데

이게 단순 업데이트만으로 8비트 색공간을 10비트로 변경할 수 있는 건지? 알 수 없지만

관련 이슈가 생기고 돌비비전을 지원하는 드라이버 ThinkPad Monitor INF File 6.7.0.0 버전이 배포되었다고 한다.

 

# 패치 내역

  Version       Build ID    Rev.  Issue Date
  ------------  --------    ----  ----------
  6.10.0.0      N22OI07W    03    2021/10/28
  6.10.0.0      N22OI07W    02    2020/05/13
  6.10.0.0      N22OI07W    01    2019/05/10
  6.9.0.0       N22OI06W    01    2018/10/31
  6.7.0.0       N22OI05W    01    2018/04/30
  6.6.0.0       N22OI04W    01    2018/01/12

 

 

# 패치 내용

<6.7.0.0> (N22OI04W)
-(New) Added Dolby Vision support.

 

 

 

 

 

하지만 6.7.0.0 버전을 설치해 봐도 윈도우 자체의 HDR 설정불가 및 8비트 색공간은 같았고

이후(현재는 6.14.19.0이 최신인듯하다.) 모든 드라이버를 설치해 봐도 전역적인 HDR 기능은 지원되지 않았다.

그럼 HDR 자체는 다른 방식으로 지원하겠다는 내용인가?

 

 

 

Dxdiag로 확인해도 지원되지 않음이라 뜨고.

 

 

 

 

 

 

특정 APP을 켜서 재생하는 "HDR 비디오 스트림 설정"은 사용할 수 있는데

여전히 전역 HDR은 설정할 수가 없음.

 

음.. 특정 앱 ??

넷플릭스에서 확인하고자 해도넷플 해지한 지가 꽤 오래여서;;

누군가 해줬으면..

물론 윈도우 상에서 전역적인 설정이 왜 안 되는지가 궁금한 거긴 한데

넷플릭스 다시 볼 때쯤 확인해서 포스팅 수정할 예정

 

 

참고로 "HDR 비디오 스트림"의 최소 스펙은 아래를 지원해야 한다고 한다.

 

1. 최소 300니트 밝기의 디스플레이

2. 특정 앱

"일부 앱은 Windows 10에 기본 제공되는 비디오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여기에는 Microsoft Edge, 사진, 영화 및 TV 같이 Windows 10과 함께 제공되는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UWP) 앱은 물론 Microsoft Store에서 가져오는 다양한 타사 비디오 앱(예: Hulu, Netflix 및 Vudu)이 포함됩니다."

3. 비디오 스트리밍을 전체화면으로 할 때.

4. 배터리 사용이 아닐 때. (설정에서 변경가능)

5. HDR을 재생할 수 있는 코덱을 지원할 때 (HEVC,VP9 등)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HDR 관련 문서

https://support.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EC%9D%98-hdr-%EB%B9%84%EB%94%94%EC%98%A4%EC%9A%A9-%EB%94%94%EC%8A%A4%ED%94%8C%EB%A0%88%EC%9D%B4-%EC%9A%94%EA%B5%AC-%EC%82%AC%ED%95%AD-192f362e-1245-e14d-3d3f-4b3fc606b80f

 

 

 

짧은 결론

 

내가 알고 싶었던 것은 6세대 스펙시트에서 HDR 돌비비전 디스플레이로 소개해놓고

왜 전역 HDR 설정은 불가능한가에 대해서인데

국내외 명확한 해답도 없는 걸 그 이상 찾아봐야 시간만 낭비일 듯하다.

 

내 짧은 추측으로는 해외포럼 Q&A 대로 하드웨어 상 10비트 패널이 아니어서이지 않나 싶다.

애초에 전역적인 적용보다도 특정 APP에서와 같은 개별적인 적용이 우선순위이었던 것 같다.

완벽한 지원은 아니더라도 S/W 업데이트로 부분 지원했으니 도리를 다했다고 생각한 걸 수도 있고.

 

 

일단 요약해 보자면

1. X1C6에 탑재된 패널은 8비트 SDR 색역의 패널이다.

2. 8비트의 SDR 색역 패널이지만 추후 업데이트로 제공된 S/W로 HDR 컨텐츠 감상은 가능해졌다.

3. 물론 HDR 컨텐츠를 감상하려면 여러 제약조건이 붙는다. 특정 브라우저 특정 앱 등.

4. 윈도우에서 전역적인 설정은 안 되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레노버 해외 포럼의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는 X1Y3 사용자의 의견을 남기고 포스팅을 마친다.

 

" 좋은 디스플레이이긴 하지만 여전히 HDR 디스플레이는 아닙니다.

(광고대로) 뭐라고 하든 사실은 다 말해주고 있습니다. HDR도 없고, 진짜 돌비 비전도 없습니다.
HDR 콘텐츠를 SDR로 위장/변환하는 소프트웨어로 좋은 밝은 SDR Display! ;) "

(출처)

https://forums.lenovo.com/t5/ThinkPad-X-Series-Laptops/X1-Yoga-3rd-gen-HDR-display-not-HDR-capable/td-p/4000701/?page=27

 

 

 

 

 

 

231002 임시 작성/240210 업로드/241212 수정(표,정렬,내용)

 

 

작업하다가 온도가 80도로 올라가더니 쓰로틀링이 걸리고 70도 기준으로 주파수가 2Ghz 초반대로 유지된다.

일상적인 간단한 작업에서도 터보부스트가 잘 안 터지더라. 최신 BIOS(1.61)로 오고 나서부터 전력관리를 쎄게 걸었나 싶다.

 

해외포럼에선 1.25 버전에서부터 문제가 생긴다고 하는데 현재 올려진 버전은 1.61 버전이다.

정말 1.25 이전의 버전으로 롤백하면 해결 될지 궁금하긴 해서 롤백해볼 예정이다.

 

2023년 10월 2일 기준 릴리즈된 내역은 다음과 같다. 출처 - 레노버 드라이버 지원

2023년 02월 2일 기준으로는 1.62 버전이 올라와있다. (귀차니즘으로 측정하진 않았음)

더보기

https://pcsupport.lenovo.com/us/en/products/laptops-and-netbooks/thinkpad-x-series-laptops/thinkpad-x1-carbon-6th-gen-type-20kh-20kg/downloads/ds502281-bios-update-utility-bootable-cd-for-windows-10-64-bit-linux-thinkpad-x1-carbon-type-20kh-20kg

 

BIOS Update (Utility & Bootable CD) for Windows 11, 10 (64-bit) - ThinkPad X1 Carbon (Type 20KH, 20KG) - Lenovo Support US

: : : :

pcsupport.lenovo.com

Previous Package Version BIOS ID ECP ID
 1.61 (N23UJ39W) 1.61 (N23ET86W)  1.22 (N23HT37W)
1.60 (N23UJ38W) 1.60 (N23ET85W) 1.22 (N23HT37W)
1.59 (N23UJ37W) 1.59 (N23ET84W) 1.22 (N23HT37W)
1.58 (N23UJ36W) 1.58 (N23ET83W) 1.22 (N23HT37W)
1.57 (N23UJ35W) 1.57 (N23ET82W) 1.22 (N23HT37W)
1.56 (N23UJ34W) 1.56 (N23ET81W) 1.22 (N23HT37W)
1.55 (N23UJ33W) 1.55 (N23ET80W) 1.22 (N23HT37W)
1.54 (N23UJ32W) 1.54 (N23ET79W) 1.22 (N23HT37W)
1.53 (N23UJ31W) 1.53 (N23ET78W) 1.22 (N23HT37W)
1.51 (N23UJ30W) 1.51 (N23ET76W) 1.22 (N23HT37W)
1.50 (N23UJ29W) 1.50 (N23ET75W) 1.22 (N23HT37W)
1.49-1.21 (N23UJ27W) 1.49 (N23ET74W) 1.21 (N23HT36W)
1.49-1.21 (N23UJ27W) 1.49 (N23ET74W) 1.21 (N23HT36W)
1.49 (N23UJ26W) 1.49 (N23ET74W) 1.20 (N23HT35W)
1.48 (N23UJ25W) 1.48 (N23ET73W) 1.20 (N23HT35W)
1.46 (N23UJ23W) 1.46 (N23ET71W) 1.20 (N23HT35W)
1.45 (N23UJ22W) 1.45 (N23ET70W) 1.20 (N23HT35W)
1.44 (N23UJ21W) 1.44 (N23ET69W) 1.19 (N23HT34W)
1.43 (N23UJ18W) 1.43 (N23ET68W) 1.18 (N23HT33W)
1.41 (N23UJ18W) 1.41 (N23ET66W) 1.17 (N23HT32W)
1.40 (N23UJ17W) 1.40 (N23ET65W) 1.15 (N23HT30W)
1.38 (N23UJ16W) 1.38 (N23ET63W) 1.13 (N23HT28W)
1.37 (N23UJ15W) 1.37 (N23ET62W) 1.12 (N23HT27W)
1.36 (N23UJ14W) 1.36 (N23ET61W) 1.12 (N23HT27W)
1.34 (N23UJ13W) 1.34 (N23ET59W) 1.10 (N23HT25W)
1.31 (N23UJ12W) 1.31 (N23ET56W) 1.09 (N23HT24W)
1.30 (N23UJ11W) 1.30 (N23ET55W) 1.08 (N23HT23W)
1.28 (N23UJ10W) 1.28 (N23ET53W) 1.08 (N23HT23W)
1.27 (N23UJ09W) 1.27 (N23ET52W) 1.08 (N23HT23W)
1.25 (N23UJ08W) 1.25 (N23ET50W) 1.08 (N23HT23W)
1.23 (N23UJ07W) 1.23 (N23ET48W) 1.08 (N23HT23W)
1.22 (N23UJ06W) 1.22 (N23ET47W) 1.08 (N23HT23W)
1.15 (N23UJ05W) 1.15 (N23ET40W) 1.08 (N23HT23W)
1.13 (N23UJ03W) 1.13 (N23ET38W) 1.07 (N23HT22W)
1.12 (N23UJ02W) 1.12 (N23ET37W) 1.07 (N23HT22W)
1.08 (N23UJ01W) 1.08 (N23ET33W) 1.06 (N23HT21W)

 

 

시네벤치 R23

※ 세팅 : 최고 성능모드, AC 전원 연결, 최소한의 백그라운드 앱, HWinfo 측정

※ i7-8550u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멀티코어 점수는 약 3000~3200점으로 보인다.

Cinebench 클럭 CPU 전력 소비 총 시스템 전력 온도 Score 특이사항
BIOS 1.23 2.5~2.6Ghz 23W~29W 32~43W 85~90도 3288점 최신 1.61 버전과 비교해서 온도와 소비 전력이 높지만 본 성능을 내는 것으로 보임.
BIOS 1.25 2.0~2.3Ghz 약 14W 21~24W 약 70도 2674점 이 버전부터 쓰로틀링이 강하게 걸림.
BIOS 1.28 2.0~2.3Ghz 2683점 전원 관련을 개선하는 패치가 들어가 있지만 앞선 1.25 버전과 큰 차이가 없어보임.
BIOS 1.61 1.9~2.3Ghz 2901점 멀티코어 점수는 이전 버전들에 비해 상승하긴 함.

 

더보기

1. BIOS 1.23

 

멀티 - 3288점

클럭 - 2.5~2.6Ghz

CPU 전체 전력 소비 - 23~29W

총 시스템 전력 - 32W~43W  

온도 - 85 ~ 89도

: 온도가 높긴 하지만 고사양 작업 및 웹서핑, 유튜브, 오피스 등 간단한 작업에서도

3ghz대 클럭을 자주 볼 수 있었음.  

 

 

2. BIOS 1.25

 

멀티 - 2674점

클럭 - 2.0 ~ 2.3Ghz

CPU 전체 전력 소비 - 거의 14W 고정 

총 시스템 전력 - 21 ~ 24W

온도 - 70도 전후

: 현 1.61 버전처럼 쓰로틀링이 걸리면서 클럭도 팍팍 깎임. 70도 선에서 클럭이 유지됨.

 

 

3. BIOS 1.28

# 패치 내용 - (Fix) 전원 제어를 개선합니다.

 

멀티 - 2683점

클럭 - 2.0 ~ 2.3Ghz

CPU 전체 전력 소비 - 14W

총 시스템 전력 - 21W ~ 24W

온도 - 70도 전후

: 전원관련 패치가 있던 것으로 보이나 이전 버전과 큰 차이가 없음.

 

 

4. BIOS 1.61 (최신)

멀티코어  - 2901점

클럭 - 1.9Ghz ~ 2.3Ghz

CPU 전체 전력 소비 - 약 14W 고정

총 시스템 전력 - 21 ~ 24W

온도 - 70도 전후

: info 값은 이전과 딱히 차이가 없어보이긴 한데 이상하게도 멀티코어 점수는 상승함. 측정이 잘못된걸까 싶은데 귀찮아서..

 

# 1.28과 1.61 사이의 버전은 굳이 테스트하진 않았지만 전원관련 패치내용은 없어서

대체로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

 

언더볼팅

CPU Core undervolting (BIOS 1.23)

※ -80mV (PROCHOT 미설정)

※ 최고 온도 및 전력소모는 소폭 내려가고 클럭 및 멀티코어 점수 상승

BIOS 1.23 올코어 클럭 평균 CPU 전력 총 시스템 전력 온도 Cinebench R23
-80mV 27배수 23W 33W 약 85도 3597점

 

 

CPU Core undervolting (BIOS 1.23)

BIOS 1.23 올코어 클럭 평균 전압 평균 CPU 전력 온도 Cinebench R23
Default 24.5배수 0.901V 20W PROCHOT 20
(80도 제한)
- 평균 78~80도
3265점
-80mV 25.5배수 0.884V 20W 3381점
-90mV 25.5배수 0.882V 19W 3347점
-100mV 25.5배수 0.876V 19W 3356점

 

 

CPU Core/CPU Cache undervolting (BIOS 1.23)

BIOS 1.23 올코어 클럭 평균 전압 평균 CPU 전력 온도 Cinebench R23
Default 24.5배수 0.901V 20W PROCHOT 20
(80도 제한)
- 평균 78~80도
3265점
-80mV 26배수 0.869V 19W 3496점
-90mV 26.5배수 0.863V 19W 3521점
-100mV 26.5배수 0.859V 19W Error(블루스크린,블랙아웃,화면떨림)

 

 

CPU Core/CPU Cache undervolting (BIOS 1.61)

BIOS 1.61 올코어 클럭 평균 전압 평균 CPU 전력 온도 Cinebench R23
Default 21배수 0.823V 15W PROCHOT 20
(80도 제한)
- 평균 67~70도
2862점
-80mV 23.5배수 0.795V 14W 3204점
-90mV 23.5배수 0.791V 14W 3208점
-100mV 23.5배수 0.784V 14W Error(3194점, 화면 멈춤)

 

 

 

결론

- i7-8550u의 본 성능을 원한다면 BIOS는 1.23 버전까지만 사용해야함. 그 이상의 버전은 강한 쓰로틀링이 걸림.

다만 1.23을 사용할 경우 온도가 맹점인데 높은 온도는 노트북 수명에 영향을 끼치므로 성능 하락을 감수하고 최소한의 온도 제한은 걸어두는게 좋을 듯함.

- 1.23도 좋지만 보안 취약점 패치가 된 1.61에다가 언더볼팅해서 사용할 예정.

 

[240210 작성/241210 수정]

 

시네벤치 R23에서 1회 차만에 최고 온도 97도를 찍고는 쓰로틀링이 걸려서 클럭이 반타작되고 온도가 71도로 내려간다.

쓰로틀링은 원래 그렇다 쳐도 온도를 95도를 넘게 찍는 게 노트북 내구성에 부담이 될까 걱정되서 궁여지책으로 써멀 재도포를 해볼 생각이다. 씽크패드는 분해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일단 하판을 분해하려면 십자나사 5개를 풀어줘야 하는데
나사는 완전히 분해될 수 없게 끔 되어 있으므로 적당히 풀렸다 싶으면 손톱이나 카드로 조심스럽게 열어준다.

오랜만에 열어서 그런지 흡입구에 먼지가 꽤나 쌓여있어서 브러쉬로 털어주었다.

 

 

 

내부 모습

 

혹시나 작업 과정에서 혹여나 쇼트로 인한 데미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먼저 CMOS에서 배터리를 연결 해제하고 (disable built-in battery) 전원버튼을 15초 정도 눌러줘서 잔류전원을 제거해 준다.

 

 

 

 

 

그 다음 배터리의 십자나사 4개를 풀어주고 배터리 커넥터 부분을 살짝 들어주면 배터리가 쉽게 분해된다.  

 

 

 

이제 뜨거운 8세대 i7 씨퓨를 감당하고 있는 히트싱크와 쿨러를 떼어낼 차례다.

쿨러 4핀과 히트싱크 나사 4개를 풀어주면 쉽게 분리가 된다.

 

 

 

의외로 써멀 상태가 CPU에 닿는 부분은 약간 점성이 있는 상태였었고 그 주위는 딱딱하게 굳어 있었다.

반대편 그래픽코어? 사우스브릿지? 칩셋엔 써멀이 안 발라져 있긴 한데 이쪽은 발열이 거의 없어서 히트싱크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바르지 않은 것으로 추정해 본다.

 

CPU 팬을 분해해서 먼지 청소를 해주면 좋긴 할 텐데 일단 깨끗해 보여서 귀찮아서 외부에서 간단하게 브러쉬로 청소해주었다.

굳이 해야한다면 미니 십자나사와 접착 테이핑을 풀어주고 분리시켜서 먼지를 털어내 주면 될 듯 하다.

 

 

 

기존의 써멀구리스는 제거하고 MX-4를 대충 얇게 발라준 다음 분해의 역순으로 재조립 해주었다.

 

 

 

 

- 써멀 재도포 후기-

 

벤치 테스트에서 최고 온도 83도가 나왔는데 이전과는 달리 90도는 넘지 않았다. 이전에는 살짝 부하가 오면 온도가 순간적으로 튈 때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나마 덜 해진듯 하고 쿨러 소음도 아무때나 윙~ 하던게 줄어들었다. 

 

근데 노트북 분해하다 보니 LTE 슬롯이 비어있어서 공허한 느낌이다. 하판은 꽉 채워져 있으면 좋긴 한데.

L850GL WWAN 카드라도 알아볼까 싶다. 그럼 안테나도 달아야 하는데 합해서 5~6만원 음..

LTE 기능은 있는데 안 쓰는 것과 없어서 못 쓰는 것과는 다르니깐 추후 생각해 볼 여지는 있겠다.

 

 

 

2024-02-06 작성

 

오랜만에 케이스 교체를 해보려고 한다. 원래는 빅타워를 사용해 왔어서 이번에는 미들타워로 가볼까 고민하다가 우연찮게

미니타워인 듯 itx 케이스인듯한 걸 발견했다. 생각보다 평도 좋고 휘황찬란한 LED를 한번 겪고 나서는 측면이 보이는 디자인을 싫어했었는데 이건 막혀있는 디자인이라 구매하게 되었다.

 

 

1. 주문

79,900원 + 배송비 3000원해서 약 83,000원

나는 보통 케이스값을 6만원 이상은 고려를 안 하는 편인데 딱히 대체재가 없어서..

 

 

2. 개봉

 

처음 만져본 느낌은 매우 차가웠다. 날씨 때문에 얼음을 만지는 것 같았다. 그리고 생각보다 무거웠다는 것.

외관을 이리저리 둘러봐도 도장 까짐이나 틀어짐 같은 문제는 없었다. 철판도 꽤 두껍고 단단한 느낌이었다.

 

 

 

외장재들을 분리시키고 남은 뼈대.

호환되는 CPU 쿨러 높이는 155mm이지만 측면 브래킷(수냉,하드 가이드)을 제거한다면 사이드 철판 기준 158mm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뭐.. 160mm의 AK620 설치 사례도 있는 듯 하니 158mm의 내 pccooler G6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추가) 사이드 철판과 살짝 맞닿아 있는 듯 하지만 장착은 잘 됐다.

 

 

3. 주의사항

 

파워는 SFX에서 ATX 파워까지 지원하는데 ATX 파워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상단 간섭이 생겨서 상단 120mm 팬 2개 중 하나만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라디에이터에 들어가는 연장 나사를 사용해서 (구매 필요) 파워의 위쪽을 살짝 띄워주게 되면 팬 2개를 장착할 수 있다. 다만 풀 사이즈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파워와 간섭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추가) 상단 한쪽에는 120mm 팬, 다른 한쪽에는 3.5인치 하드를 달았다. (이유는 아래에)

 

 

 

ATX 파워 사이를 나사로 띄워서 상단 투 팬을 장착하면 보드 우측  5번 6번 사타포트 공간이 파워 때문에 좁아진다.

6번은 ㄱ자 케이블 쓰면 되겠지만 5번은 ㄴ자 역방향 케이블이 있었나 싶은데.. 하여튼 최대한 사타 케이블을 꺾어야 하거나 못 쓰게 될 가능성이 있다.

 

 

ID-COOLING NO-8025-SD (80mm 25T 2000RPM). 후면 팬은 80mm 규격이고 저렴한 걸로 구매하긴 했다. 

그래픽카드는 M-ATX 보드와 ATX 파워(높이 140mm) 기준 대략적으로 335mm의 그래픽카드까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추가) 나중에 RTX 4060을 달아주었는데 사이즈가 작은 제품이고 팬도 2팬이어서 파워 간섭 문제는 없었다.

 

 

주의사항 2.

 

각노루 케이스는 하단에도 120mm 팬 2개 혹은 3.5인치 하드를 장착할 수 있는데 B450M TUF PRO 보드는 USB 3.0 헤더가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간섭 때문에 25T 팬이나 3.5인치 하드를 장착할 수가 없다. 헤더를 꺾는 19핀 연장 젠더를 쓰면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보았으나 위로 꺾자니 그래픽카드 때문에 각이 안 나오고, 아래로 꺾자니 바닥에 닿을 것 같다.

왜 하필 3.0 헤더는 저기 있는 것인가;; 팬이 15T 두께면 모를까 25T는 꺾어도 안 될 거 같아 포기했다.

하단에 헤더가 있는 보드들은 15T 팬을 구매하시라. 아니면 전면 3.0 포트를 포기하거나..

 

 

하단 우측에 장착한 3.5인치 하드와 SATA포트의 간섭.. 이런 시행착오도 있었다.

 

 

 

그래서 하단 확장은 포기하고 상단에 팬과 하드를 달게 되었다... 투팬 쓰고 싶어서 하드 그냥 뗄까 싶다.

추가) .. 나중에 이건 아니다 싶어서 하드 떼고 120 팬을 달아주었다. 여분의 SSD 슬롯에다가 비슷한 용량의 SSD라도 맞춰줄 생각이다.

 

 

다 조립하면 이런 느낌. 남은 120mm 팬을 G6 뒤쪽에 달았다. 효과는 없을 듯한데 꽉 찬 느낌이 좋아서 붙여주었다. 근데 작업할 때 꽤나 시끄러워서 80 팬이나 120 팬 둘 중 하나를 떼버리는 게 낫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희생해야 할 부분이 약간 있지만 만족하는 케이스다. SFF만큼은 아니지만 귀엽고 작고 딴딴해 보인다. 발 올려놔도 안 휠 듯하고 무채색의 스타일도 나름 괜찮다.

업그레이드를 언제 할지는 모르겠지만 콤퓨타를 새로 맞출 때까지는 이대로 쭉 써야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