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12 임시작성/241205 업로드]

 

컴퓨터로 딱히 하는 건 없지만 행사를 통해 5950X를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 교체하게 되었다.

적립까지 해서 26만원에 구매하였는데 쿨러없는 단품 구성으로 왔고 특이한게 보증기간이 꽤 남아있더라.

이번에 AM5로 넘어갈까 생각 중이었는데 음.. 몇 년 더 AM4를 써야겠다.

 


 

 

시네벤치 R23

1. 3900X

- Hwinfo 기준

R23 (PBO) 전압 (고부하) 온도 파워 싱글 멀티
PBO Enable (40배수) → 1.32V 83도 130W 미측정 18106 pts

 

2. 5950X

R23 (PBO) 전압(고부하) 온도 파워 싱글 멀티
PBO Auto (38배수) 1.45V→1.01V 56도 100W 1623 pts 25374 pts
PBO Enable (44배수) →1.24V 90도 210W 1601 pts 28812 pts
PBO2 -30 (45.5배수) →1.19V 90도 185W 미측정 30199 pts
 PBO2 -30 limit: 80도 (44.5배수) →1.16V 80도 165W 29770 pts
PBO2 -25 limit: 80도 (44.5배수) →1.15V 80도 165W 29756 pts

 

R23 (수동오버) 입력 전압(고부하) 온도 파워 싱글 멀티
47배수 1.35V→X 부팅 성공, 벤치 통과 X
46배수 1.27V→1.19V 92도 190W 미측정 30355 pts
45배수 1.2V→1.12V 76도 150W 1494 pts 30013 pts
44배수 1.15V→1.08V 70도 130W 1460 pts 29198 pts
43배수 1.10V→1.03V
1.08V→1.01V
65도
64도
115W
110W
1417 pts
1422 pts
28550 pts
28565 pts

 

1) 3900X와 비교했을때 전압, 소비전력도 낮아졌고 PBO 멀티 점수도 최소 7000점이나 올랐다.

2) PBO Enable과 PBO2는 팬 소음이 너무 시끄러워서 그냥 수동오버를 사용할 듯.

3) 장시간 고부하 작업을 하는것이 아니라면 5950X는 PCCOOLER G6 같은 공랭 쿨러로도 쓸만해보인다.

※ 보드 및 쿨러

B450M TUF PRO2

PCCOOLER G6

 


 

인코딩 (핸드 브레이크)

→  테스트 영상 : 4K 60FPS H264 2시간 분량

→  변환 : 4K 60FPS, H265, 19 RF, Faster

 

1. 3900X (PBO Enable)

인코딩 (4K) 최고 온도 파워 평균 fps 예상 시간 팬소음
PBO Enable (40배수) 85도 130W 미만 34 fps (완료) 3시간 25분 (완료) 시끄러움



 

 

2. 5950X (PBO Enable)

인코딩 (4K) 최고 온도 파워 평균 fps 예상 시간 팬소음
PBO Enable (45.5배수) 85도 160W 미만 45 fps (완료) 2시간 36분 (완료) 시끄러움



 

 

3. 노가다

1) 배수마다 인코딩을 완료하기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일부만 완료함.

2) 43배수로 써야겠다.

인코딩 (4K) 최고 온도 파워 평균 fps 예상 시간 팬소음
PBO Auto (38배수) 65도 110W 미만 58 fps (예상) 2시간 01분 (예상) 조용함
PBO Enable (45배수) 85도 160W 미만 45 fps (완료) 2시간 36분 (완료) 시끄러움
46배수 74도 140W 미만 57 fps (완료) 1시간 57분 (예상)→2시간 5분(완료)
45배수 66도 120W 미만 60 fps (예상)→56 fps (완료) 1시간 58분(예상)→2시간 7분(완료) 조용함

44배수 60도 100W 미만 60 fps (예상) 1시간 59분(예상)
43배수 55도 80W 미만 57fps (예상)→54fps (완료) 2시간 03분(예상)→2시간 13분(완료)

 

[240906 작성/업로드]

 

 

다얼유 A950G 마우스가 9개월만에 버튼 불량이 생겼다.

사이드 버튼이 지 맘대로 작동해서 어쩔수 없이 A/S를 보냈다.

역대 사용한 마우스들 중에서 좌우 버튼이 아니라 사이드버튼 문제로 A/S 접수는 처음인듯하다.

X지텍은 좌우 더블클릭이 먼저 찾아오던데..

 

보증 1년이내라서 택배 편도비용만 든단다. 대충 마우스와 USB 리시버만 돌돌 감싸서 보냈는데

생각보다 A/S가 꽤 오래 걸리고 있다. 일주일이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고객센터 왈 : A/S 물류가 집중되어서 최대 2주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당황스럽지만 여튼 잘 수리돼서 2주안에는 왔으면 한다. 근데 다얼유가 이렇게 인기가 좋았던가? 구매한 사람이 많은 듯.

요즘 A950G 가격도 많이 내려갔던데 하나 더 구매해둘까도 싶다.

 

 

9월 5일 - A/S 완료된 택배가 오고 있다. 주말끼고 거의 11일만이다.

 

 

9월 6일 - 오랜 기다림 끝에 배송 받았다. 부분 수리가 아닌 새 제품으로 주더라.

USB 연장 젠더는 처음 보는 데 구성품이 살짝 리뉴얼된 듯하다.

마우스 바닥 피트, 그립 스티커도 있고 케이블도 들어있는 새 제품이다.

이럴땐 A/S 가능한 정발 제품을 구매해서 다행스럽다.

컴터로 딱히 뭐 하지도 않아서 이번엔 1년은 버텨줬으면 한다.

240704 작성/업로드

 

예시

 

주 PC에서 크롬을 사용하면 가끔씩 웹페이지 사진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른 PC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체크해 봤지만 딱히 문제가 없었는데, 이전에 주 PC에서 설정한 값에 문제가 있는 듯.

크롬 설정의 HW 가속 ON/OFF 해결 안 됨, 폰트 크기와 웹페이지 확대 값도 초기화해 봤지만 안 됐는데

 

https://girrr.tistory.com/251

 

크롬 유튜브 - 스크롤 시 화면 떨림이나 재생 중 화면 깨짐 증상

240606 업로드  크롬 검색창 - chrome://flags/ -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 검색 - Default를 OpenGL로 변경 1. OpenGL로 변경 시 이전과 같은 화면 떨림/깨짐 증상은 해결되나 (장시간 사용해본 결과 별 문제

girrr.tistory.com

 

아마도 유튜브 깨지는 문제 때문에 설정했던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와 관련된 게 아닐까 해서

OPENGL로 설정했었던 걸 디폴트 값으로 바꾸면서 늘어지는 현상은 해결이 되었다.

 

... 그냥 이 참에 파이어폭스나 엣지로 갈아탈까 싶기도 하다.

 

 

 

 

 

 

240619 초안/ 240628 업로드

 

 

Firebat AM02만의 문제인지, 유튜브의 일시적인 버그인지 알 수 없지만

창 모드에선 잘 재생되지만 풀 모드로 전환하면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드랍(끊김,버벅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1080P 뿐만 아니라 4K, 8K 모든 화질에서 전체 화면만 했다하면 프레임이 드랍되는데

다른건 몰라도 샌디브릿지에서도 잘 돌리던 1080p FHD까지 드랍이 되버리니 황당하다.

 

● 내장그래픽 클럭 최대 750Mhz 동작 확인 완료

● 그래픽 드라이버 구버전 및 최신 버전 설치

● 광고 차단 앱 해제

● 윈도우 재설치

● 크롬 외 다른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사용

 

여러 방법을 써봐도 해결이 안되어서 진짜 PC 불량 문제인가? 고민하다가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동일 증상이 나타나는 걸 계기로 일부 해결할 수 있었다.

 

 

사용 모니터 - LG 32UP830 4K 모니터

설치된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 - 31.0.101.5590 (2024/6/14)

 

 

- 전체화면 해제  : 정상적으로 재생됨.

 

 

 

- 전체화면 설정 : 프레임 드랍이 지속적으로 발생함.

 

 

 

# 해결 방법

 

- 설정에서 "영화 조명" 또는 "영화 조명과 특수 효과"를 체크 해제한다. 

 

 

 

- 4K 60fps 영상 재생 시  큰 프레임 드랍없이 잘 재생됨. (227 드랍은 중간에 다른 작업을 해서 그렇다.)

 

PS. 다만 8K 영상은 이 방법을 써도 여전히 드랍이 발생한다. 현재로서는 솔루션은 딱히 없는 듯한데 애매한 상황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