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606 업로드

 

 

크롬 검색창 - chrome://flags/ -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 검색 - Default를 OpenGL로 변경

 

1. OpenGL로 변경 시 이전과 같은 화면 떨림/깨짐 증상은 해결되나 (장시간 사용해본 결과 별 문제 없었음.)

AV1 하드웨어 가속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CPU 사용률이 아래처럼 늘어남.

D3D9도 무난하게 잘 동작하긴 하지만 AV1 가속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해서 비슷한 사용률을 보임.

 

1) 4K 60fps (20% 전후)

 

2) 8K 60fps (80% 전후)

 

 

2. D3D11onD12는 이런 문제가..

 

 

 

3. Default(D3D11)는 유튜브 AV1 가속은 잘 되긴 해도 떨리고 깨지는 문제가..

 

 

현재로서는 어느 것이든 일장일단이 있어서 추천하기가 썩 그렇지만

OPENGL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게 최선으로 보인다.

 

 빠른 패치 부탁..

240417 임시작성 / 240606 업로드

 

 

엔비디아 쉴드TV 2017 2세대 With 뷰잉 리모컨

쉴드TV 2세대 2017 쉴드TV는 대략 2015(1세대) 2017(2세대) 2019(3세대) 세 종류로 나뉘어지고보통 2년 주기로 새 모델을 출시하던데 뭔가 3세대 모델부터는 출시가 꽤 지연되고 있다.안드로이드 진영에

girrr.tistory.com

 

연관되는 글이긴 하지만 3세대 리모컨을 구매할까 말까 계속 고민하고 깜빡하고 하다가

알리 천원마트에 괜찮은 리모컨이 있어서 이게 쉴드TV 리모컨을 대체할 수 있을지 없을지

궁금한 관계로 하나 구매 해보았다.

  

 

모델명 : G10S Pro

 
본래 단품으로 사면 6천원인듯 하나
 
 
 

  
알리의 천원마트에선 3천원에 판매 중이다.
천원마트 특성상 3개 이상 사야 해서 2천 원짜리 100W 충전 케이블도 담았다.
G10S 기본 모델과 프로 모델의 차이는 백라이트 기능 유무인 듯. 가격은 같아서 프로로 주문했다.
 
  

 
디자인은 요래 생겼는데 플라스틱에 무광 재질이다. 잡기 쉬운 곡선 형태로 되어있어서 편하다.


  
 

 
버튼을 누르면 똑딱똑딱 소리가 꽤 크게 나고
홈 버튼과 백라이트 ON/OFF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된다.
위에 있는 화살표 버튼은 에어마우스 기능인데 영 불편해서 잘 안 쓸듯.

 

 
 

 
배터리는 AAA 사이즈 2개. 사진에는 없지만 2.4Ghz 대역의 리시버도 포함되어 있다.
블루투스는 지원되지 않는 모델이니 필요하다면 상위 BT모델로 가야 한다.
 
 
가장 중요한 내용을 적어보자면
1. 이전에도 언급했듯이 서드파티 리모컨을 사용하면 기본 키보드 앱(Gboard) 사용하는 앱 중에서도 키 입력이 안 되는 앱들이 몇개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스토어, 파일 앱, 웨이브 등.. 검색 창에서 키 입력이 안 된다.
(단, 유튜브 앱처럼 자체내장된 키보드가 있는 경우엔 뷰잉 같은 호환 리모컨으로도 사용 가능함.)

여하튼 G10S PRO도 마찬가지로 키 입력을 할 수 없었다. 에어마우스 기능으로도 불가능. 참.. 맥 빠지는 결과다.

 

2. 볼륨 조절은 잘 된다. 근데 HDMI CEC를 예전에 설정했던 적이 있어서 그런 걸 수도.. 만약 안된다면 CEC 기능을 체크해 보자.

 

3. 전원 ON/OFF는 일단은 되긴 하지만 문제는 시간이 꽤 지나고 ON을 시키면 켜지질 않았는데

전원 IR학습을 시킨 뒤로는 관련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 추가 -

1번 같은 문제는 확인해 보니 쉴드TV 2세대 리모컨은 가운데(Select) 버튼을 누르면 DPAD_CENTER 명령을 보내는데

일반 서드파티 리모컨들은 ENTER 명령을 보내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버튼 매퍼를 사용해서 바꾸면 되는데 root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면 또 복잡해질 듯..

 

 

 

확실치는 않지만 상위 라인 G30 시리즈가 DPAD_CENTER를 지원하지 않을까 하는 썰도 있긴 한데

G30 레이아웃을 보면 ENTER와 OK 버튼이 구분되어 있기도 해서 글쎄.. 근데 이것도 의견이 분분해서 확실치는 않다.

 

G20 시리즈도 된다 안된다 말이 많아서 쉴드 업데이트 릴리즈 내역을 찾아보니

일단은 G20은 키매핑 지원으로 나와있는데  같은 디자인이라도 Vendor가 다르면 안 되는 건지

 

 

 

최근 알리 리뷰에선 키입력 지원이 안된다고 나온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org.liskovsoft.androidtv.rukeyboard&hl=ko&gl=US

 

LeanKey Keyboard - Google Play 앱

Android TV 박스 용 다국어 키보드

play.google.com

 

https://github.com/yuliskov/LeanKeyKeyboard

 

GitHub - yuliskov/LeanKeyKeyboard: Keyboard for Android based TV and set-top-box

Keyboard for Android based TV and set-top-box. Contribute to yuliskov/LeanKeyKeyboar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다른 키보드 앱을 사용하는 걸 좋아하진 않아서 굳이 설치해서 사용해보진 않았으나

이런 서드파티 키보드 앱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하니 확인해 보자.

 

 

이로써 3세대 리모컨 구매 계획은 현재 진행 중.

아니 이쯤 되면 진짜 3세대 리모컨 구매할지도.. 
 
 
 
 

 

'정보 > NVIDIA (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쉴드TV 2017 2세대 With 뷰잉 리모컨  (0) 2023.08.17

[초안: 240513 업로드: 240525 수정(정렬 및 추가): 241212]

 

 

FIREBAT AM02 MINI PC AMD Ryzen 5 6600H DDR5 16GB RAM 512GB SSD WIFI6 BT5.2 Portable Desktop MINI-PC Computer - AliExpress 7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1부)

 

Firebat AM02 - N100 미니 PC 둘러보기 및 결제

알리 익스프레스가 무슨무슨 기념으로 세일해서조금 늦은 감은 있긴 한데 N100 미니 PC를 주워볼 생각이다.  intel N100 주요 특징1. 4코어 4쓰레드 (E코어)2. TDP 6W3. AV1 코덱 디코딩 지원 !! TDP 6W 주제

girrr.tistory.com

 

주문 - 24/05/01 배송완료 - 24/05/13 국제우편 LPSG 송장 - 우체국 배달

 

몇 주 전 구매했던 미니 PC가 도착했다. 알리에선 배송이 6월로 측정되기도 했고 물류도 집중되어 있다고 하니 늦게 받을 줄 알았는데 운이 좋았는지 생각보다 빨리 받을 수 있었다.

 

박스

 

- 제품 박스는 비닐 패킹이 되어있고 주문한 사양이 적혀있는 스티커가 붙여져 있는데 만약 다르면 반품해야할 수 있으니 뜯기 전에 확인을 꼭 해보자.

 

 

기본 구성품

 

- HDMI 케이블, VESA 마운트에 필요한 브라켓 및 나사, 2.5인치 SATA 컨버터 케이블, 12V 3A 어댑터

- 전원 어댑터는 유럽형인데 멀티탭에 그냥 끼워도 사용은 되긴 하지만 얇아서 잘 빠진다. 돼지코를 사용하는 것이 낫겠다.

 

 

제품 뚜따

 

 

 

- 바닥 면에 툭 튀어나와 있는 실리콘은 뚜껑 열때 손잡이로 쓰라고 만든 듯하다.

- 나사는 십자나사로 꽤 빡빡하게 조여져 있다. 나사 홀이 꽤 깊고 두꺼운 드라이버는 중간에 걸려서 안 닿으니 얇은 드라이버가 필요할 수 있다.

 

 

제품 뚜따 - 내부

 

- 내부 전경, 파란색 기판이 눈에 뜨인다. 중간 사진의 하판에다가 2.5인치 HDD 혹은 SSD를 설치할 수 있다.

 

 

 

제품 뚜따 - RAM

 

- 램 제조사 Indilinx, 하이닉스 칩, 램 클럭 2666Mhz, 램 전압 1.2V

- 일단 메모리 테스트 결과 문제는 없었고 2133 램이었으면 3200으로 교체할 생각이었는데 뭔가 애매해져서 그냥 사용해야겠다.

 

 

제품 뚜따 - SSD

 

 

- 내장된 SSD는 M.2 NVME가 아닌 M.2 SSD이고 스펙시트 상으로는 TLC 구조.

- 컨트롤러는 실리콘모션 SM2259XT2 디램리스

 

 

제품 뚜따 - 무선랜

 

- WIFI 6 및 블루투스 5.2를 지원하는 AX101

- 안테나 분리 방지를 위한 테이핑이 되어있고 안테나는 천장에 부착되어 있다.

 

 

제품 뚜따 - 쿨링구조

 

- 플라워 형태의 쿨링구조, 히트싱크는 금속재질이긴 한데 구리는 아닌 듯하고.. 통짜 알루미늄인가?

- FAN은 4핀 사용함.

 

 

제품 뚜따 - 써멀 구리스

 

- 방열판과 CPU가 닿는 면적 외에도  써멀 구리스가 잔뜩 발라져 있음. 주위에 써멀 유분기 같은게 있기도 하고 그냥 다 닦고 남는 써멀(XTC-4) 재도포 함.

 

 

제품 뚜따 - SATA 확장

 

- 구매 전 SATA 설치 가이드는 없는 것 같아서 어떻게 할까 고민했었는데 제품 내부에 가이드가 사출이 되어 있었다. 나사만 잘 결합해서 장착하면 되겠음.

- 사타 컨버터 케이블은 'AUK01972RB'이 모델명으로 보이고 12핀 배열의 변태규격으로 보임.

 

OS

- 윈도우 11 Home 버전이 탑재되어 있다. 중국발 N100 PC의 악성코드 이슈 때문에 OS 재설치를 고려한다면 미리 KEY를 확인해 두거나 마소 계정을 연동해둬야한다.. (연동하고 난 뒤 필히 비밀번호 변경이나 OTP 인증 설정을 추천)

- 윈도우 재설치에도 문제없이 정품인증 되었고 slmgr로 체크해보면 키채널은 OEM:DM으로 나온다.

 

악성코드 이슈?

- MZK로 검사해 본 결과 탐지된 것은 없었지만 혹시 모르기 때문에 OS 재설치를 추천함.

더보기

Malware Zero Report File

-- 경고 --

   데이터베이스는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새로 내려받아 검사하시기 바랍니다.

-- 알림 --

   도구 사용 후, 아래 사항 반드시 확인

   ① 악성코드 제거에 실패했을 경우, 안전 모드에서 검사를 진행하거나 재부팅 후 재검사 진행
   ② 메모리를 활용하는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경우, 검사 후 반드시 재부팅 진행
   ③ 웹 브라우저에서 악성 광고 창이 계속 생성될 경우, 임시 파일 제거 / 시작 & 검색 페이지 설정 및 부가 & 확장 프로그램 점검 / 웹 브라우저 재설치
   ④ 한글 입력 불가 및 특정 프로그램(예: Classic Shell)이 정상 실행되지 않을 경우 재부팅 진행
   ⑤ 사용 후 도구가 삭제되지 않을 경우, 재부팅 후 삭제 진행

   반복 진단, 미진단, 오진, 오동작, 그 외 버그 등 문제 발생 시 아래 사항 확인

   ① 동봉되어 있는 <3. 문제 해결> 문서를 참고하여 문제 해결
   ② 반복 진단, 미진단 시 악성코드 분석 요청 : https://malzero.xyz/support/analysis
   ③ 오진, 오동작, 그 외 버그 신고 : malzero.virus@gmail.com

   ※ 자기 자신부터 보안 실천 ! ! ! <5. 악성코드 감염 예방> 문서 참고

-- 검사 정보 --

   데이터베이스 버전 : 2024. 05. 13. V01

   운영체제(OS) : Microsoft Windows [Version 10.0.22621.2215], x64
   검사 환경 : 표준
   검사 일시 : 2024-05-13 21:19:50.07

   검역소 폴더 : C:\Quarantine_MZ

--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

   ★ 안전 ★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상세 보고 --

   ■ 악성 및 유해 가능 자동 실행 라이브러리(AppInit_DLLs) 값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자동 실행 라이브러리(AppInit_DLLs, 32bit) 값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서비스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초기화 대상 프로세스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또는 불필요한 유휴 파일 전송 작업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파일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폴더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호스트 파일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네트워크 DNS 주소 상태 확인 - 1차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소켓 프로토콜 상태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HKEY_CLASSES_ROOT>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HKEY_CURRENT_USER>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HKEY_LOCAL_MACHINE>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HKEY_USERS>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BHO(Browser Helper Object)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방화벽 규칙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브라우저 확장 기능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웹 브라우저 -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악성 시작 및 검색 페이지 확인 :
   발견되지 않음

   ■ 웹 브라우저 -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악성 시작 및 검색 페이지 확인 :
   발견되지 않음

   ■ 초기화 대상 웹 브라우저 바로 가기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초기화 대상 서비스 및 레지스트리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프로그램 설치 정보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및 유해 가능 시작 프로그램 레지스트리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악성 운영체제 관리 도구 항목 제거 :
   발견되지 않음

   ■ 운영체제 관리 도구 리포지토리 확인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네트워크 DNS 주소 상태 확인 - 2차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음

-- 정보 --

   Web : https://malzero.xyz
   Virus Zero - Security Community : https://cafe.naver.com/malzero
   Batch Script : ViOLeT (archguru)

   경고 ! 타 사이트/카페/블로그/토렌트 등에서 배포/개작 및 상업적 이용 절대 금지 ! (발견시 신고 요망)

-- E --

 

CPU 벤치마크

 

뚜따 (윈11)
노뚜따 (윈10)

 

- 시네벤치 2024는 무슨 일인지 시작조차 안 돼서 R23 버전을 사용했는데 2894점이 나왔다.

- 케이스 뚜따 or 노뚜따의 온도차이가 있긴 한데 왜 이렇게까지 극명한지는 모르겠.. 여튼 고부하 작업에서 온도는 85도 선에서 최대한 커팅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 FAN 속도는 hwinfo에선 보이진 않으나 빠르게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는 걸 보면 조절은 되는 듯.

 

 

몇 주간의 사용 후기

1) 윈도우 초기 세팅 과정 때문인지 버벅거린다. 색인 등의 과정이 끝나면 조금 괜찮아지긴 하는데 드라마틱하진 않음.

2) 그냥 뭘 하던 간에 CPU 사용률은 항상 100% 찍고 있다.

3) 유튜브 8K 아이유(AV1 코덱) 영상 기준. 4K 60fps 정도는 코덱빨로 재생이 가능했다. 

문제는 8K 60fps인데 CPU 및 GPU 사용률을 100%를 찍고 프레임 드랍도 지속적으로 생긴다. 재생은 가능한데 원활하진 않았고 일단 영상을 틀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241212 추가) 윈도우 해상도를 내리면 8K 60fps는 재생이 잘 되더라만.. 생각해보면 4K 모니터에서 픽셀 매칭을 하는 과정은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N100의 성능의 한계로 프레임 드랍이 되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여튼 8K는 케바케인듯.

4) OS 재설치를 하니 드라이버를 몇 개 못 잡는다. 수동으로 잡아야 하는데 과정은 나중에 포스팅해볼 생각.

5) 윈도우 11에서 10으로 내려봤는데 문제 없이 잘 동작하고 있고 11보다는 10이 쾌적한 느낌이다. 

6) 전면 C타입 DP ALT 기능은 LG 32UP830 모니터에서도 잘 동작한다.

7) 2개의 키보드, 마우스로 왔다갔다하기 불편해서 KVM 스위치 알아볼까 생각 중.

8) (240618 추가) 제품과는 별 상관 없는 얘기겠으나 잠시 윈도우 11 home으로 올렸는데 등기부 등본을 발급하려고 하니

결제 버튼을 눌러도 RPRTregisterXctrl 프로그램이 반응이 없다. 발급 때문에 윈도우 10으로 다시 내렸다.

 

9) 이 PC 자체는 엄청 좋은 성능을 가진건 아니어서 차라리 더 줘서 라이젠 사는게.. 돈 낭비라고 생각될 수도 있고 또 실제로 중고시장에 많이 던져지기도 하는데 정말 용도를 잘 설정해서 구매해야할 듯하다. 용도만 잘 맞는다면 값어치는 충분히 할 수 있지 않을까?

 

 

 

프린터를 한 20일 정도 사용하지 않았더니 컬러가 이상하게 나온다.

곧 OS를 재설치 할 생각이라 인쇄 스케줄링을 안했더니 이렇게 됐다.

최악의 경우 이 무거운 프린터를 가지고 막상 A/S를 받으려니 앞이 깜깜하다. 커버플러스 3만원... 가입할걸 그랬나

노즐 청소로 해결이 되었으면 한다.

 

 

파랑과 노랑은 잘 나오는 데에 비해서

검정과 빨강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다. 뭔가 문제가 있다.

 

 

 

1. 노즐 점검 & 헤드 청소

엡손 L6490 메뉴얼 - 노즐 점검 예시

 

노즐 검사에서 이렇게 모든 색상들이 출력이 되어야 하는데

 

 

 

노즐 검사에선 노랑과 파랑만 나온다.

블랙, 마젠타는 어디..?

 

노즐 점검&헤드 청소 3번이 국룰이라고 해서 반복해 봐도

해결이 안 되는 걸 보니 카트리지 쪽 문제인가 싶기도 하다. 굳은건가?

 

PS. 노즐 점검&헤드 청소 3회 실행을 했음에도 출력물에 문제가 있는 경우

더 이상 인쇄를 하지 않고 최대 12시간이 지난 다음, 노즐 재검사를 하란다..

그래도 여전히 출력물에 문제가 있다면 그제야 파워 클리닝 1회 진행하라고 하는 데

급해서 바로 파워 클리닝을 돌렸다.

 

 

 

 

2. 파워 클리닝(강력 청소) 

 

뭔가 누르기 께름칙하지만 A/S 방문은 싫으니 어쩔 수 없다.

 

 

 

(1) 잉크탱크에 잉크가 충분히(30%) 있나요? - 네

(2) 파워클리닝은 12시간 동안 한 번만 하세요 ! - 네

(3) 폐잉크 담을 잉크패드(유지보수킷) 수명 확인하세요 ! - 네

 

메뉴들을 잘 넘기면 파워 클리닝이 수행되는데 10분 내외로 걸린다고 한다.

 

 

 

3. 파워 클리닝 완료

해결

 

파워 클리닝을 하니 나오지 않던 컬러들이 잘 나온다. 깔끔하게 해결이 되었다.

이게 잉크가 꽤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고 하는데 무한잉크여서 크게 체감은..

 

(엡손 메뉴얼에선 헤드청소 최대 3회 및 파워클리닝 1회 만을 권장한다고 하니 주의해야 함.

계속하면 잉크, 유지보수킷 빵꾸날듯.. 통장...)

 

브라더 프린터 사용할 때는 알아서 자동 관리해 주니 이런 문제는 없었는데

 얘는 그런 기능이 없는 건지? 항상 전원을 연결해 두고는 있었는데

브라더처럼 혼자 움직이거나 낑낑대는 작업은 없어서 의아하긴 했었음..

 

아무래도 인쇄 스케줄러는 필수로 걸어둬야 할 듯하다.

 

 

'정보 > 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엡손 L6490 무한잉크 복합기 - 구매  (0) 2022.10.09
브라더 DCP-T220 무한잉크 복합기  (0) 2022.06.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