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704 작성/업로드

 

예시

 

주 PC에서 크롬을 사용하면 가끔씩 웹페이지 사진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른 PC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체크해 봤지만 딱히 문제가 없었는데, 이전에 주 PC에서 설정한 값에 문제가 있는 듯.

크롬 설정의 HW 가속 ON/OFF 해결 안 됨, 폰트 크기와 웹페이지 확대 값도 초기화해 봤지만 안 됐는데

 

https://girrr.tistory.com/251

 

크롬 유튜브 - 스크롤 시 화면 떨림이나 재생 중 화면 깨짐 증상

240606 업로드  크롬 검색창 - chrome://flags/ -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 검색 - Default를 OpenGL로 변경 1. OpenGL로 변경 시 이전과 같은 화면 떨림/깨짐 증상은 해결되나 (장시간 사용해본 결과 별 문제

girrr.tistory.com

 

아마도 유튜브 깨지는 문제 때문에 설정했던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와 관련된 게 아닐까 해서

OPENGL로 설정했었던 걸 디폴트 값으로 바꾸면서 늘어지는 현상은 해결이 되었다.

 

... 그냥 이 참에 파이어폭스나 엣지로 갈아탈까 싶기도 하다.

 

 

 

 

 

 

240619 초안/ 240628 업로드

 

 

Firebat AM02만의 문제인지, 유튜브의 일시적인 버그인지 알 수 없지만

창 모드에선 잘 재생되지만 풀 모드로 전환하면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드랍(끊김,버벅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1080P 뿐만 아니라 4K, 8K 모든 화질에서 전체 화면만 했다하면 프레임이 드랍되는데

다른건 몰라도 샌디브릿지에서도 잘 돌리던 1080p FHD까지 드랍이 되버리니 황당하다.

 

● 내장그래픽 클럭 최대 750Mhz 동작 확인 완료

● 그래픽 드라이버 구버전 및 최신 버전 설치

● 광고 차단 앱 해제

● 윈도우 재설치

● 크롬 외 다른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사용

 

여러 방법을 써봐도 해결이 안되어서 진짜 PC 불량 문제인가? 고민하다가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동일 증상이 나타나는 걸 계기로 일부 해결할 수 있었다.

 

 

사용 모니터 - LG 32UP830 4K 모니터

설치된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 - 31.0.101.5590 (2024/6/14)

 

 

- 전체화면 해제  : 정상적으로 재생됨.

 

 

 

- 전체화면 설정 : 프레임 드랍이 지속적으로 발생함.

 

 

 

# 해결 방법

 

- 설정에서 "영화 조명" 또는 "영화 조명과 특수 효과"를 체크 해제한다. 

 

 

 

- 4K 60fps 영상 재생 시  큰 프레임 드랍없이 잘 재생됨. (227 드랍은 중간에 다른 작업을 해서 그렇다.)

 

PS. 다만 8K 영상은 이 방법을 써도 여전히 드랍이 발생한다. 현재로서는 솔루션은 딱히 없는 듯한데 애매한 상황이다.

 

 

 

 

240606 업로드

 

 

크롬 검색창 - chrome://flags/ -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 검색 - Default를 OpenGL로 변경

 

1. OpenGL로 변경 시 이전과 같은 화면 떨림/깨짐 증상은 해결되나 (장시간 사용해본 결과 별 문제 없었음.)

AV1 하드웨어 가속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CPU 사용률이 아래처럼 늘어남.

D3D9도 무난하게 잘 동작하긴 하지만 AV1 가속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해서 비슷한 사용률을 보임.

 

1) 4K 60fps (20% 전후)

 

2) 8K 60fps (80% 전후)

 

 

2. D3D11onD12는 이런 문제가..

 

 

 

3. Default(D3D11)는 유튜브 AV1 가속은 잘 되긴 해도 떨리고 깨지는 문제가..

 

 

현재로서는 어느 것이든 일장일단이 있어서 추천하기가 썩 그렇지만

OPENGL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게 최선으로 보인다.

 

 빠른 패치 부탁..

 

 

 

 

 

 

 

 

https://support.apple.com/ko-kr/102361

 

Windows용 iCloud를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할 수 없는 경우 - Apple 지원 (KR)

Windows용 iCloud를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수행할 작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support.apple.com

 

 

 

일단 팁은 아니고.. 

한 몇 달 되었나? 윈도우 10 아이클라우드에서 키체인(암호)을 전혀 못 쓰고 있다.

암호 및 키체인에서 승인을 누르고 인증번호를 입력해도 전혀 반응이 없다.

황당한건 맥에서는 잘 된다.

 

왜 윈도우에서만 안될까 싶다. 잘 있는 미디어팩 설치는 또 왜 뜨는거구??

 

내 추측으론 부트캠프 또는 외장SSD에 윈도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듯 하다.

왜냐하면 윈도우 노트북에선 잘 동작하고 있기 때문.

 

 

1. 스토어 icloud 재설치.

2. icloud exe 시절 구버전 설치.

3. 윈미플 미디어팩 재설치. (재설치해도 저 에러는 계속 뜬다.)

 

할 수 있는 환경 내에서 이것저것 해보려 하였으나 전혀 해결할 수 없어서 그냥 포기상태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례들이 몇 건 보이나, 여기도 별 수 없나보다.

마지막 방법은 윈도우 재설치인데 세팅하는 시간이 답이 없어서 망설이는 중.

 

아이클라우드.. 저번엔 로그인 조차 안되더만 이젠 키체인도 쓸 수 없다니..

그냥 유료 패스워드 매니저를 쓸까 생각 중이다.

 

 

 

 

크롬이 업데이트된 이후부터 우클릭 메뉴박스에서 Google에서 ' ' 검색 (Search Google for ' ')이 추가되었다.

 

메뉴 배치를 "새탭에서 구글 검색" 밑에다 두던가..

저걸 습관처럼 자꾸 누르니

필요없는 사이드패널 열리고 해서 끌 수 있나 찾아봤는데 실험실에 있긴 있더라.

 

 

문제의 메뉴

 

 

 

chrome://flags/

chrome://flags/

실험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크롬' 검색창에 텍스트를 붙여넣고 엔터를 눌러주자.

 

 

 

 

 

실험실이 열리면 검색에다가 'CSC'을 입력해주고 CSC를 Default에서 Disabled로 변경한다.

 

 

 

 

 

 

Relaunch를 클릭하고 재실행되면 메뉴박스에서 기능을 확인해보자.

 

 

 

 

 

 

윈도우 탐색기의 파일 복사는 매우 간편하긴 하지만

항상 기능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한 네다섯시간짜리 분량의 복사를 걸어두고 자다 일어났는데

경로를 못찾는 파일이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결정이 필요하거나

하드 독 인식이 잠깐 끊겼다가 되돌아오는 경우에

파일 복사가 멈춰있는걸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자고 일어났는데 보게 되면 참 황당하다.

 

그리고 중요한 파일 + 신뢰할 수 없는 저장매체라면 때때로 Hash 같은 검증과정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단순 윈도우의 기능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 테라카피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편리한 Copy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테라카피는 유료/무료로 사용 할 수 있고 라이센스에 따른 기능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리스트된 파일 부분선택하여 제거, 목록 내보내기, 즐겨찾기 등의 편의성 정도 차이다.

 

 


 

https://www.codesector.com/teracopy

 

TeraCopy for Windows - Code Sector

Be in control In case of a copy error TeraCopy will try to recover. If unable to recover in the worst case scenario it will simply skip the problematic file, not terminating the entire transfer. It can also wait for network or device reconnection. Unnecess

www.codesector.com

 

다운로드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고

설치 파일은 인스톨 혹은 포터블 2가지가 제공된다.

나는 인스톨 버전을 택했다.

 


실행 방법은 이렇게 드래그를 하는 방식과

copy할 파일 및 폴더에서 우클릭으로 테라카피를 선택하는 방식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해주는 방식이 있다.

 

나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카피하는 방식을 택해보았다.

 

 

프로그램을 실행했으면 원본(복사할 파일)과 대상(복사될 곳)를 지정해주자.

 

 

 

 

체크를 하고 밑에 메뉴를 잘 보면 검사와 검증이 보인다.

이 둘은 파일의 무결성 체크, 즉 파일 복사가 잘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쓰인다. 필요할 때 옵션으로 쓰자.

 

일단은 복사를 눌러보자.

 

 

 

네트워크 드라이브(SMB)에서 로컬 드라이브로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이다.

복사 속도, 예상 완료시간, 전체/부분 진행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opy를 하다보면 장비탓 네트워크탓 전기탓 등등으로 이렇게 연결이 끊어질 때가 있다.

테라카피를 이용하면 일단 에러난 파일들은 건너뛰고

Copy 가능한 다음 파일들을 계속 복사하게 된다. 물론 나중에 에러난 파일들만 다시 copy할 수도 있다.

 


참고로 위의 스샷은 내 장비가 맛이가서 끊어진거고 프로그램의 문제는 아니다.

잠깐 썰을 풀어보자면 나는 하드 도킹스테이션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빌어먹을 하드 독이 잘 가다가 연결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다.

 

유x콘 Dx-5xxxDxL 이거.

이게 하드를 몇개 홀라당 해먹었다. 

CRC에러가 무수히 증가하고 연결이 끊어질 때가 엄청~ 많다. 최근에 산 쌔삥하드도 이거에 당했다.

CRC에러는 sata 문제라고는 하는데 여기서 숫자가 더이상 늘지않고 작동만 잘되면 별 문제 없다지만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연결도 계속 끊어지고

하드 몇개 날라간 것도 이 불안정성에 기인해서 날라간게 아닌가 싶다. 

 

처음 샀을때부터 그랬었는데 그때 이걸 폐기처분했었어야 했다. 괜히 구형 하드 문제로 생각해서;;

사실을 알아봤자 이미 A/S기간과 하드는 날라간 뒤고 참나

어쩔수 없이 이건 일년에 몇번 백업할때 쓸 용도로 모셔두고 있다.

지금은 숫자만 택갈아서 나오는거 같은데 ㅋㅋ 다나와 상품평보면 여전하다. 그말싫이다.

 

하드 독은 시중에 멀쩡한게 없는듯. 대충 상품평이나 리뷰만 봐도 욕이 없는 제품이 없다.

나도 하드독은 그지같으니까 다신 안산다. 필요하면 DAS를 사던가 해야지 


 

 

 

Copy 과정이 완료되면 이렇게 에러난 파일들을 리스트로 볼 수 있다.

 

 

 

상태 메뉴에서 그래프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X같은 도킹스테이션 연결이 끊어지는 바람에 경로를 못찾아서 중간에 벽돌 모양이 떡하니 생겼다. 

 

 

 

에러난 파일들을 다시 Copy하려면

필터에서 오류를 체크하고 복사를 눌러주자.

 

 

 

드라이브에 같은 파일이 존재할 경우 이렇게 뜨는데

여러가지 옵션이 있으니 잘 선택해준다.

 

 


참고로 혹시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어도

작업 로그는 남아있기 때문에 다시 켜서 좌측에서 해당 작업을 눌러주면 된다.


 

 

 

에러난 파일까지 복사가 전부 완료되었으면 그냥 끝내면 되겠지만

파일이 정상적으로 복사가 되었는지 확인 차

검증(원본파일 해시값과 복사된파일 해시값 비교)을 눌러서 '파일 무결성 체크를 해보자.

사용되는 해시값은 MD5일거다. (설정에서 다른 알고리즘으로 바꿀수도 있는 듯)

 

 

# 참고로 복사가 완료되면 이렇게 옆에 체크 한줄이 표시된다.

 

 

# 옵션으로 검증까지 마친다면 체크가 두줄 표시된다.

 

 

 

검증까지 마치고 난 사진이다.

로그를 보면 좌측은 원본파일의 해시 ,  우측은 복사된 파일의 해시로 보인다.

해시 값이 같으니 정상적으로 복사가 수행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딱히 검사를 누르지 않았는데도 원본파일 해시가 계산된걸 보면

처음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해시값도 같이 계산 되는게 맞는 듯

그러니깐 '검사'는 해시값 계산이 다시 필요할때 수행하면 되고

'검증'은 복사과정이 완료되고 양쪽 파일간의 신뢰성 체크가 필요할 때 눌러주면 되겠다.

 

절차

파일 추가 및 위치 지정  -> Copy(복사 및 hash값 계산) ->  검증(옵션) -> Copy 완료

 

 

편리한 Copy 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끝.

 

RX100 M2 - 소음

- AF 초점을 잡을때마다 렌즈 혹은 모터에서 미칠듯한 소음/진동이 발생한다.

사진 결과물엔 큰 문제가 없어서 그냥저냥 사용하다가 소음이 계속 신경쓰여서 서랍에 넣어두었는데

개선 펌웨어가 있다는 소식에 업데이트를 진행해보았다.

 

 

RX100 M2 - 펌웨어 업데이트

- 대상 제품군은 Ver 1.00인 RX100 M1 / RX100 M2

- 펌웨어 주요 내용으로는 렌즈 진동/소음 개선점이 있다고 한다.

 

www.sony.co.kr/electronics/support/articles/00179550

 

 

RX100 M2 - 업데이트 완료

- 업데이트로 치명적이었던 소음이 완전히 개선되었는데 초점 잡을 때 아예 바디에서 덜덜거리는 소음들이 없어졌다.

눈 깜짝할 새에 없어졌다라는 표현이 맞겠다.

분리수거될 카메라가 다시 살아났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다.

 

WD - Western Digital LifeGuard Diagnostics (DLGDIAG)

HDD 제조사 WD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분석 및 포맷 툴이다.

HDD S.M.A.R.T 정보와 빠른 포맷, 제로필 포맷을 제공한다.

속도 제한도 없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타 제조사도 사용가능하지만 보통 제조사마다 공식 SW을 제공하고 있음을 참고하자.

 

대개 유명한 툴로는 HDDGURU의 HDD Low Level Format Tool이 있지만

무료로 사용할 경우 $3.30(개인)의 지출이 필요하고, 50MB/s의 속도제한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어

개인적으로는 WD의 툴을 사용하고 있다.

hddguru.com/software/HDD-LLF-Low-Level-Format-Tool/

 

 

다운로드

1.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로드를 받고 설치를 진행한다.

support.wdc.com/downloads.aspx?lang=kr

 

WD 소프트웨어

List of all WD firmware and software available for download.

support.wdc.com

 

인터페이스

1. 포맷이 필요한 디스크를 더블 클릭한다.

 

2. ERASE로 메뉴 선택

 

 

3. 경고 메뉴가 3번정도 뜨는데 YES로 넘기면 아래 창이 표시된다.

- 로우 레벨 포맷을 위해 FULL ERASE로 진행하면 된다.

 

 

제로필 포맷 수행

1. WD 1TB 풀 포맷

- SATA 연결은 160~190MB/s의 속도로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 USB 3.0 도킹 스테이션은 30~50MB/s 쓰기 속도로 약 6~7시간이 소요되었다.

 

 

# 쓰기 속도

 

[2018. 4. 30. 18:53 naver blog backup]

 

문제점

- 학교 WIFI를 사용하려면 반강제적으로 유틸리티를 설치시키는데, 이 유틸리티를 설치하면 그래픽 드라이버가 충돌나는 증상이 있었음
지우려고 해도 제거 목록엔 없고, 프로세스도 종료시키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야매로 삭제함

 

 

해결

1. 인터넷 연결 해제


2. 작업관리자 실행
> ctrl + alt + delete

3. pid 확인
> 메뉴 - 보기 - 열 선택 - PID(프로세스 식별자) 체크

netclient 관련 프로세스 pid 기억해두기


4. 명령 프롬프트(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5. taskkill 명령어 입력
> taskkill /f /pid pid번호
( netclient 관련 pid번호 넣기 )


6. 작업관리자에서 netclient 관련 프로세스 종료 확인

 

7. chrome,익스플로러 등 웹브라우저 완전히 종료된 상태에서

> C:\Windows\SysWOW64\NetClient5 폴더 제거
(NetClient5 폴더만 제거할 것)


8. N5Client Agent 서비스 수행 차단
> 윈도우 + R - services.msc - N5Client Agent 
- 오른쪽 클릭 - 속성 - 시작 유형에서 "사용 안함" 적용


 

레지스트리 등.. 깨끗하게 삭제하는 방법은 아니긴 하다. 그렇다고 포맷은 귀찮으니;;

 

 

[2018. 5. 14. 01:54 naver blog bakcup]

 

원인

- 스마트폰의 sony remote app으로 RX100을 연결하면
와이파이가 연결 해제되면서 액세스 불가

 

 

해결

- 시스템에 설치된 우회 방식을 사용하는 광고차단 APP이 원인 (adguard 등..)

- 해당 APP을 끄면 연결 가능함

[2018. 6. 5. 19:29 naver blog backup]

 

문제점

- NET Framework 3.5 설치 과정에서 0x80070422 오류 발생

 

 

원인

→ windows update 기능이 꺼져있을때 주로 발생
windows update가 '사용안함' 으로 되어있는지 점검 필요

 

 

해결

시작 - 실행 (또는 win+r) - services.msc - windows update - 속성
→ 수동 또는 자동 선택후 적용/확인

'정보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client5 제거하는 방법  (2) 2020.02.23
RX100 MK2 리모트앱 인터넷 연결 해제  (0) 2020.02.23
softether VPN 인터넷 연결 오류 해결 방법  (0) 2020.02.23
윈도우10 디펜더 - 디스크 점유율  (0) 2020.02.23
TAB(탭)  (0) 2019.09.30

[2015.05.11 17:30 naver blog bakup]

 

문제점

SoftEther VPN Client Manager으로 해외 VPN을 이용해보고자 설치해보았다.

프로그램에선 Connected라고 뜨지만

네트워크 센터에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뜬다.

이 문제 때문에 40분을 헤맸다. 관련 포스팅도 적어서 도움도 안됐고..

나름 해결방법을 강구 해봤는데.. 흠

 

 

원인 파악 과정

1. 프로그램 버전별로 재설치

- X

 

2. 장치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 유선랜 드라이버 제거 후 동일 버전으로 재설치 = X

- 최신 버전 및 하위 버전 설치 = X

- 상관 없는 무선 드라이버 재설치 = X

 

3. 공유기 문제인가?

- 공장 초기화 = X

- 지식인의 도움을 빌려 공유기 설정 해봄 = 역시 지식인.. X

> 유/무선 공유기는 VPN 접속이 안될수있다는 지식인, 

> 애초에 유선으로도 설정해봤으나 불가능했음, 여튼 몇몇 지식인들의 얕은 지식 덕분에 때려칠뻔..

 

 

해결

- 네트워크 센터에서 VPN 어댑터의 AVG 방화벽 필터를 해제 시키면 된다.

 

# 해결 방법

> Status 부분 Connected라고 되있으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선 적용이 안 되어있다.

(때문에 인터넷을 실행해도 VPN이 아닌 본인이 원래 쓰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된다.)

 

 

> 이렇게

 

 

 

> 이 모든게 AVG 백신 때문이다. (여기서 굳이 Firewall을 건들 필요는 없다)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가서 VPN을 더블클릭

  "속성"으로 들어간다.

 

 

> 속성에 들어가면 AVG network filter driver 박스가 체크되어 있는데.

해당 박스를 "체크 해제" 시킨 후 확인을 누르고 나온다.

 

 

 

- 다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들어가서 조금만 기다려보면

  VPN이 자동 적용된다.

 

 

 

 

 

포스팅 끝

[2015.05.11 17:30 naver blog bakup]

'정보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client5 제거하는 방법  (2) 2020.02.23
RX100 MK2 리모트앱 인터넷 연결 해제  (0) 2020.02.23
0x80070422  (0) 2020.02.23
윈도우10 디펜더 - 디스크 점유율  (0) 2020.02.23
TAB(탭)  (0) 2019.09.30

원인

작업관리자를 확인해보니 윈도우10 백신이 디스크를 과도하게 점유하고 있다.

디스크 대역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시스템이 심각하게 버벅인다. 

 

백그라운드에서 백업 디스크의 백업 파일들을 검사하고 있는듯 싶은데

문제는 백신을 중지시켜도 점유가 풀리지 않는다.

 

리소스 모니터

 

해결

[해결 방안]

- 디펜더로 들어가서 검사 중인 파일을 검사 예외 파일로 등록한다.

 

제어판 - 보안


 

 



 


 

 


 

 


 

검사 중인 파일 추가

 


 

 

'정보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client5 제거하는 방법  (2) 2020.02.23
RX100 MK2 리모트앱 인터넷 연결 해제  (0) 2020.02.23
0x80070422  (0) 2020.02.23
softether VPN 인터넷 연결 오류 해결 방법  (0) 2020.02.23
TAB(탭)  (0) 2019.09.30

로그인할 때 ID를 잘못 입력하고

PW 칸으로 넘어갔다면

 

SHIFT(쉬프트) + TAB(탭)을 누르면 된다.

TAB 기능의 역이다.

'정보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client5 제거하는 방법  (2) 2020.02.23
RX100 MK2 리모트앱 인터넷 연결 해제  (0) 2020.02.23
0x80070422  (0) 2020.02.23
softether VPN 인터넷 연결 오류 해결 방법  (0) 2020.02.23
윈도우10 디펜더 - 디스크 점유율  (0) 2020.02.23

+ Recent posts